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업무 스킬17

미팅을 방해하는 유형의 사람들과 대처법 / 예랑(brunch) ✔ 미팅은 프로젝트의 방향을 정하고, 협업의 핵심을 잡는 가장 중요한 도구 ✔ 미리 준비된 자료와 명확한 구조 속에서 효율적으로 논의하고, 모두가 같은 방향(목표)을 바라보게 만드는 자리.   💣 미팅을 방해하는 세 가지 유형의 사람들1. 혼자 말하는 사람 - 남의 말 안듣고, 다른 부서 입장까지 대변하며 대화를 독점하는 사람  - 초점을 흐리고, 참여자들의 기운을 뺌 👊 대처법 - 미팅 초반에 명확한 시간 제한  - 부서별로 의견을 순차적으로 묻겠다고 공지할것  - "말씀하신 부분은 A부서의 의견이니 해당 부서에서 필요하면 다시 언급해주세요."  2. 액선 플랜 없이 정보만 나열하는 사람 - 무책임하게 이런 저런 아이디어나 정보만 던지고 구체적 방안은 제시하지 않음  - 문제 해결이 아니라 단순 정.. 2025. 3. 25.
Google에서 보낸 7년 동안 얻은 7가지 교훈 / Jeff su 1. 최고의 멘토는 우리보다 한 발 앞서 있는 사람들입니다.- 회사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동료들과 연결하고, 그들로 부터 직접 배운다.  2. 당신의 매니저는 당신의 인생을 만들거나 망칠 수 있습니다. (좋은 관리자를 찾으세요)- 훌륭한 관리자는 팀 내에서 심리적 안전을 구축합니다(즉, 실패를 인정하고 판단받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 나쁜 관리자는 팀(과 자신)에게 옳은 일을 하는 것보다 자신의 평판을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3. 좋은 일을 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내가 잘하면 다른 사람들도 알아줄 거야"라고 항상 믿고 싶었기 때문에 이를 받아들이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자랑하지 않고도 자신을 주장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의 성과에 대해 이야기할 때 공을 돌.. 2025. 3. 25.
질문이 실력이다 / 네이버 블로그 EK의 커리어 노트 질문이 실력이다https://blog.naver.com/junedec369/223512932060 [커리어노트 139] 질문이 실력이다손석희의 [질문들]이라는 새 티비 프로의 첫방에 백종원 대표가 나왔다. 공중파 티비에 나와서 손석희 앵커...blog.naver.com  1️⃣ 질문이 사라진 시대에 질문의 중요성- 질문이 없으면 발전 가능성이 없다- 주니어와 시니어의 차이면 어쩌면 질문하는 역량의 차이에서도 나타난다.✅ 이 일을 우리가 꼭 해야 하는 일인지?✅ 더 효율적인 방법은 없는지?✅ 이 해결법이 옳은 방식인지?- 질문이 잘못됐다면 좋은 답(혹은 대화)로 이뤄지기 어렵다.  2️⃣  고객 중심의 눈높이- 주니어 시절엔 내 생각(안목)과 팀(기업)의 방향과 고객의 취향(요구사항)의 밸런스를 맞추기가 .. 2025. 3. 20.
상사 유형별 대처법 / 잡플래닛 상사 유형별 대처법, 평화로운 직장생활은 이렇게! https://www.jobplanet.co.kr/contents/news-5618 상사 유형별 대처법, 평화로운 직장생활은 이렇게! | 컴퍼니 타임스의 비즈니스 뉴스 | 컴퍼니 타기업 전문 뉴스 컴퍼니타임스, 기업리뷰, 면접후기, 연봉, 채용, 기업 정보를 한 번에!www.jobplanet.co.kr  1️⃣ 마이크로매니징형✔ 무슨 일 하는지 시시때때로 체크함 ✔ 사소한 단어, 글자 크기 등을 세세히 지적함 ✔ 왜 이렇게 했느냐고 자꾸 캐물음💡마이크로매니징형 상사 대처법1. 팀원을 신뢰하지 못하는 유형 • 업무를 진행하기 전에 계획을 사전 공유한다. • 상사가 묻기 전에 먼저 업무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보고한다. • 질문을 자주 던지며 피드백을 업무.. 2025. 3. 20.
[스터디 노트] 화학 결합과 분석 시험 / LC, GC 관리 분석 방법의 종류1. 분광 분석- 적외선 분광법(IR) : 분자의 진동 에너지 변화를 측정하여 작용기 및 결합 종류를 확인- 핵자기공명분광법 (NIR): 원자 핵의 자기적 특성을 이용해 분자구조 및 결합정보 획득- UV-Vis(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분자의 '전이에너지'를 측정하여 Conjugation system 등의 정보 획득 2. 질량 분석(MS)- 질량 분석: 분자를 이온화시켜 질량 대 전하 비를 측정. 분자량 및 구조 정보 확인 3. 크로마토그래피-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 휘발성 물질에서 해당 성분이 들어갔는지 여부와 함량 확인-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 액체 혼합물에서 각 성분의 존재 여부 및 함량 확인 4. 기타: XRD 등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분석방법크로마토그래피(LC, GC).. 2024. 9. 24.
[스터디 노트] 어려운 일을 해야 경쟁력이 생긴다. / 신수정 어려운 일을 해야 경쟁력이 생긴다 4. 많은 직장인들의 착각 중 하나는 현재 맡은 일을 능숙하게 하는것을 전문성이라 여기는 것이다. 오래 근무한다고 반복을 많이 한다고 전문성이 생기는 것이 아니다. 요령이 생기고 효율이 생기는 것이지 전문성이 높아지는 게 아니다. 기업에 가보면 규모가 클수록 숙련도가 높은 사람은 많지만 전문성이 높은 사람은 별로 없다. 5. 숙련도와 전문성의 차이를 정리하면? - 숙련도: (남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반복해서 효율이 높아진 것. 쉬운 문제를 남들보다 빠르게 푸는 것. - 전문성: 복잡한 문제, 어려운 문제를 풀수 있는 것. 차별화된 방식으로 문제를 푸는것. 돌발적이거나 새로운 상황에서도 방법을 찾아내는 것. 전문성을 기른 사람을 우리는 프로라고 한다. 프로는 어려운 상황일.. 2024. 9. 24.
[스터디 노트] 의무감에 대하여 왜? '의무감'으로 하면 안 돼?열 개의 문단으로 전하는 짧은 생각 : 열문단 #.113 | 01 . 어느덧 7월 한 달도 마지막 날로 접어드는 시점입니다. 시간이 빠르다는 말은 이제 입과 귀에게 미안할 정도로 많이 듣고 또 내뱉는 말이brunch.co.kr05.사람들은 의무라는 말을 마치 어쩔 수 없이, 마지못해, 억지로 해야 하는 듯한 뉘앙스로 받아들일 때가 많습니다.하지만 의무라는 말의 사전적 정의를 찾아보면 뒤통수를 한 대 세게 맞은 듯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사전에서 정의하고 있는 의무란, 옳을 '의(義)'자에 힘쓸 '무(務)'자를 써서 '사람으로서 마땅히 하여야 할 일. 인간의 의지나 행위에 부과되는 구속.'이라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죠.06.다시 말해 '의무'란 무엇보다 나 혹은 우리가 원해.. 2024. 9. 12.
[스터디 노트] 훌륭한 일을 하는 방법 🚀내용이 좋아 “How to Do Great Work” 의 영상 요약 노트를 공유합니다! 흥미로운 내용 3가지 : - 위대한 일을 위해서는 자연스러운 적성과 깊은 관심이 필요한데, 이는 스스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흥미로운 작업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 지속적인 관심과 호기심을 가지고 문제를 탐색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독창성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 진정한 동기부여는 긍정적인 태도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나오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흥미를 발전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https://lilys.ai/digest/1237599?s=1&nid=-1 How to Do Great Work이 영상은 훌륭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개인의 자연적.. 2024. 9. 9.
[스터디 노트] 부주의의 심리학 (휴먼 에러의 배후 요인) 주의력의 한계원래 하기로 했는데 결과로 쭉 이어지지 않은 것이 휴먼에러 1. 주의  - 마음에 새겨 조심하는 것  - 일에 관심을 기울임  - 위험을 신경쓰지 않음. 2. 주의력  한가지 일에 마음을 집중해 나가는 것. 3. 주의의 일반적의미(1) 카노우 히로시  - 본인의 인식과 별개로 명료하게 의식하지 못하는 순간이 있다.  - 부주의와 주의는 파동성을 가진다.  - 방향성: 두가지에 집중하지 않는다.  - 선택성: 동시에 두가지를 집중할 수 없다.  - 일점 집중성: 하나에 집중하면 다른 것에 퍼지지 않는다. 4. 부주의에 대한 생각(1) 안이한 대책 3종세트  - 충분히 주의하면서 작업해!라는 지시 > 시킨다고 다 되는게 아님...  - 안전제일!이라는 슬로건 > 너무 형식적, 선언적. A하면 B.. 2024. 9. 9.
[스터디 노트] 인간행동과 안전심리 불완전 행동과 재해1. 불완전 행동은 사고가 일어나는 원인에서 가장 큰 원인이며 사고의 결과로 재해가 발생함. 불완전 행동을 제어하면 재해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2.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제어하기엔 조건이 너무 많아짐 리스크는 어쩔 수 없이 계속 발생함. 3. 인간은 왜 불완전 행동을 하지?  - 사람의 행위 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해보아야 한다. 4. 인간의 에러는 피할 수 없다.  - 모든 원인을 '획일적'으로 평가해선 안된다.  - 휴먼 에러는 '결과'로 평가해야 한다.  - 인간을 둘러싼 모든 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 인간공학 Human Factors  - 정량화된 수치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한다. 5. 용어의 정의 Human Factor VS Human Factors  - Hu.. 2024. 9.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