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고의 멘토는 우리보다 한 발 앞서 있는 사람들입니다.
- 회사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동료들과 연결하고, 그들로 부터 직접 배운다.
2. 당신의 매니저는 당신의 인생을 만들거나 망칠 수 있습니다. (좋은 관리자를 찾으세요)
- 훌륭한 관리자는 팀 내에서 심리적 안전을 구축합니다(즉, 실패를 인정하고 판단받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 나쁜 관리자는 팀(과 자신)에게 옳은 일을 하는 것보다 자신의 평판을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3. 좋은 일을 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내가 잘하면 다른 사람들도 알아줄 거야"라고 항상 믿고 싶었기 때문에 이를 받아들이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자랑하지 않고도 자신을 주장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의 성과에 대해 이야기할 때 공을 돌리고 배운 점을 공유하는 것(즉, 가치 있는 이야기를 꺼내는 것)입니다.
4. 유일한 상수는 변화입니다
- (Google처럼) 끊임없이 변화를 겪는 회사에서는 매달 새로운 일이 발생합니다. 이런 상황에 익숙해지려면 시간이 좀 걸릴거에요. 하지만 이런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유연한 프레임워크가 있다면 스트레스를 덜 받을 수 있어요.
- 변화에 적응하는 가장 좋은 질문은 '올바른 질문'을 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성공 지표(목표)는무엇인가요?"
"우리는 왜 이 새로운 방향으로 움직이나요?"
"시작하고, 혹은 멈추고 혹은 계속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요?"
5. 야망을 가졌다면 거기에 워라밸은 없습니다.
- 구글의 어떤 고위 임원도 이런 말을 한 적이 없습니다(직업상 자살 행위일 테니까요). 하지만 제가 관찰한 바에 따르면, 가장 빠르게 승진하고 전통적인 의미에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경력 초기에 일을 의식적으로 우선순위로 결정한 사람들이었습니다.
- 개인적인 삶을 우선시하는 건 전혀 문제가 아닙니다. 다만 우리 모두가 그것이 '상쇄'되는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두 가지를 모두 가질 수는 없어요.
6. 실행(행동)이 전략(생각)보다 우선입니다.
- 아이디어는 실행되지 않으면 아무 가치가 없습니다. 아이디어는 그저 허수일 뿐입니다. 실행은 수백만 달러의 가치가 있습니다. Derek Sivers "Anything You Want"
- 서류상으로 어떻게 보일지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대신 파일럿을 운영해서 가설을 시험해보세요.
- 전문가의 팁: 핵심 성공 지표(주요 지표)를 달성한 후 파일럿을 즉각적으로 실행하세요.
7. 뇌물 수수는 효과적입니다(관계 형성을 위해서).
- 고객을 방문할 때 10달러(만원)짜리 비스킷을 가져가거나, 동료들에게 회의를 위한 커피를 가져갑니다. 동료들이 "제프, 네가 나한테 4달러짜리 커피를 사줬으니, 이 프로젝트에 도움을 줄게"라고 하지는 않아요.
하지만 이런 일을 꾸준히 해서 수년간 좋은 평판을 얻고, 프로젝트가 더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다는 데 저의 10만달러를 걸고 내기할 수 있어요.
https://www.jeffsu.org/7-lessons-from-my-7-years-at-google/
7 Lessons from My 7 Years at Google
Hey friends - You might not know this, but July 4th isn’t best known for being Independence Day in the United States. July 4th is actually famous because it was the day I joined Google back in 2016. The more you know 😉 To commemorate this milestone, I
www.jeffsu.org
'업무 스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팅을 방해하는 유형의 사람들과 대처법 / 예랑(brunch) (0) | 2025.03.25 |
---|---|
질문이 실력이다 / 네이버 블로그 EK의 커리어 노트 (0) | 2025.03.20 |
상사 유형별 대처법 / 잡플래닛 (0) | 2025.03.20 |
[스터디 노트] 화학 결합과 분석 시험 / LC, GC 관리 (0) | 2024.09.24 |
[스터디 노트] 어려운 일을 해야 경쟁력이 생긴다. / 신수정 (0) | 2024.09.24 |
[스터디 노트] 의무감에 대하여 (0) | 2024.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