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ICH 에 가입하면서 국내 제약 GMP 규정이 ICH 국제조화기준을 따르게 되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ICH 가이드라인 전체의 세부 목록을 정리하였습니다. 업무를 하다보면, 내가 원하는 키워드가 어떤 가이드라인에 들어있는지 검색하고 싶은 경우가 많은데 검색이 잘 안돼잖아요...? Ctrl+F 버튼을 누르고 원하는 키워드를 검색하세요. 어떤 가이드라인에 해당 내용이 기재되어 있는지 목차를 확인하실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 목차의 내용은 식약처에서 배포하는 국문번역본을 따랐습니다.
* 국문번역본이 없는 경우 영문 목차명 기재 후 번역한 사항을 괄호에 넣어두었습니다.
최종 업데이트 일시: 2023.11.29
I. 품질
Q1A (R2) 새로운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의 안정성 시험
1. | 서론 |
1.1 | 가이드라인의 목적 |
1.2 | 가이드라인의 범위 |
1.3 | 일반 원칙 |
2. | 가이드라인 |
2.1 | 원료의약품 |
2.1.1 | 일반 |
2.1.2 | 가혹 시험 |
2.1.3 | 뱃치 선정 |
2.1.4 | 용기 마개 시스템 |
2.1.5 | 규격 |
2.1.6 | 시험 주기 |
2.1.7 | 보존 조건 |
2.1.8 | 안정성 시험 이행 약속 |
2.1.9 | 평가 |
2.1.10 | 표시기재 |
2.2 | 완제의약품 |
2.2.1 | 일반 |
2.2.2 | 광안정성 시험 |
2.2.3 | 뱃치 선정 |
2.2.4 | 용기 마개 시스템 |
2.2.5 | 규격 |
2.2.6 | 시험 주기 |
2.2.7 | 보존 조건 |
2.2.8 | 안정성 시험 이행 약속 |
2.2.9 | 평가 |
2.2.10 | 표시기재 |
3. | 용어 정의 |
4. | 참고 문헌 |
Q1B 안정성 시험: 신규 원료의약품 및 신규 완제의약품의 광안정성 시험
1. | 공통 |
A. | 개요 |
B. | 광원 |
C. | 실시방법 |
2. | 원료의약품 |
A. | 검체의 처치 |
B. | 검체의 분석 |
C. | 결과의 판정 |
3. | 완제의약품 |
A. | 검체의 처치 |
B. | 검체의 분석 |
C. | 결과의 판정 |
4. | 부록 |
A. | 퀴닌 화학적 광량 측정법 |
5. | 용어 정의 |
6. | 참고문헌 |
Q1C 새로운 제형의 안정성 시험 / 새로운 성분과 의약품의 안정성 시험
1. | 일반 |
2. | 새로운 제형 |
Q1D 신약 성분 및 제품의 안정성시험을 위한 브래케팅 설계와 매트릭스 설계
1. | 서론 |
1.1 | 목적 |
1.2 | 배경 |
1.3 | 적용범위 |
2. | 가이드라인 |
2.1 | 일반사항 |
2.2 | 생략된 설계의 적용 |
2.3 | 브래케팅 설계 |
2.4 | 매트릭스 설계 |
2.5 | 시험자료 평가 |
Q1E 안정성 시험자료 평가
1. | 서론 |
1.1 | 목적 |
1.2 | 배경 |
1.3 | 적용범위 |
2. | 가이드라인 |
2.1 | 일반원칙 |
2.2 | 시험자료 제시 |
2.3 | 외삽 |
2.4 | 실온 보관용 원료의약품 또는 완제의약품의 재시험기간 또는 사용기간 추정을 위한 시험자료 평가 |
2.4.1. | 가속시험 조건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는 경우 |
2.4.2. | 가속시험 조건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경우 |
2.5 | 실온 이하 조건에서 보존할 원료의약품 또는 완제의약품의 재시험기간 또는 사용기간 추정을 위한 시험자료 평가 |
2.5.1 | 냉장보관 원료의약품 또는 완제의약품 |
2.5.2 | 냉동보관 원료의약품 또는 완제의약품 |
2.5.3 | -20℃ 이하 보존 원료의약품 또는 완제의약품 |
2.6 | 일반 통계 분석 방법 |
3. | 부록 |
Appendix A | 원료의약품 또는 완제의약품(동결 제품 제외)의 재시험기간 또는 사용기간 추정을 위한 시험자료 평가 의사결정도 |
Appendix B | 안정성 시험자료 통계 분석 방법의 예 |
Q2(R1)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 이론 및 방법
제1부: | 시험방법 밸리데이션의 이론 |
1. | 서론 |
2. | 밸리데이션 대상 시험방법의 유형표 |
용어 | |
제2부: | 시험방법 밸리데이션의 방법 |
서론 | |
1. | 특이성 |
1.1 | 확인 시험 |
1.2 | 정량 및 불순물 시험 |
2. | 직선성 |
3. | 범위 |
4. | 정확성 |
4.1 | 정량시험 |
4.2 | 불순물의 정량시험 |
4.3 | 제출자료 |
5. | 정밀성 |
5.1 | 반복성 |
5.2 | 실험실내 정밀성 |
5.3 | 실험실 내 정밀성 |
5.4 | 제출자료 |
6. | 검출한계 |
6.1 | 시각적 평가 |
6.2 | 신호 대 잡음 |
6.3 | 반응의 표준편차와 기울기 |
6.4 | 제출자료 |
7. | 정량한계 |
7.1 | 시각적 평가 |
7.2 | 신호 대 잡음 |
7.3 | 반응의 표준편차와 기울기 |
7.4 | 제출자료 |
8. | 완건성 |
9. | 시스템 적합성 시험 |
Q3A(R2) 신규 원료의약품의 불순물
1. | 서론 |
2. | 불순물 분류 |
3. | 불순물 보고와 관리의 근거 |
3.1 | 유기 불순물 |
3.2 | 무기 불순물 |
3.3 | 용매 |
4. | 시험방법 |
5. | 뱃치의 불순물 함량 보고 |
6. | 불순물 규격 |
7. | 불순물 안전성 입증 |
8. | 용어 정의 |
첨부 1 | |
첨부 2 | |
첨부 3 |
Q3B(R2) 신규 완제의약품 중의 불순물
1. | 서론 |
1.1 | 목표 |
1.2 | 배경 |
1.3 | 적용범위 |
2. | 분해생성물 보고와 관리의 근거 |
3. | 시험방법 |
4. | 뱃치의 분해생성물 함량 보고 |
5. | 분해생성물 규격 |
6. | 분해생성물의 안전성 입증 |
7. | 용어 정의 |
첨부 1: 신규 완제의약품 중의 분해생성물 한계 기준 | |
첨부 2: 분해생성물의 구조확인 및 안전성입증 결과를 신청 서류에 기술하는 방법(예) | |
첨부 3: 분해생성물의 구조확인 및 안전성입증 의사결정도 |
Q3C(R8) 불순물: 잔류용매 가이드라인
제1부: | |
1. | 서론 |
2. | 적용범위 |
3. | 일반원칙 |
3.1 | 위해 평가에 의한 잔류용매 분류 |
3.2 | 노출한계 설정방법 |
3.3 | 분류 2 용매의 한계 설정 방법 |
3.4 | 분석방법 |
3.5 | 잔류용매 보고수준 |
4. | 잔류용매 한계 |
4.1 | 사용을 금지해야할 용매 |
4.2 | 잔류량을 규제해야 할 용매 |
4.3 | 저독성 용매 |
4.4 | 독성학적 자료가 충분치 않은 용매 |
용어정의 | |
부록 1. | 본 가이드라인의 용매 목록 |
부록 2. | 배경에 대한 추가 정보 |
A2.1 | 휘발성 유기용매의 환경 규제 |
A2.2 | 의약품 중의 잔류용매 |
부록 3. | 노출한계 설정방법 |
제 2부: |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대한 1일 노출허용량(PDE) |
제 3부: | N-메칠피롤리돈(NMP)에 대한 1일 노출 허용량(PDE) |
제 4부: | 큐멘(Cumene)에 대한 1일 노출 허용량(PDE) |
제 5부: |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과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isobutylketone)에 대한 1일 노출 허용량(PDE) |
제 6부: | 2-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3차부틸알코올 PDE |
Q3D(R1) 의약품 금속불순물 평가 및 관리 가이드라인
1. | 서론 |
1.1 | 목표 |
1.2 | 배경 |
1.3 | 적용범위 |
2. | 분해생성물 보고와 관리의 근거 |
3. | 시험방법 |
4. | 뱃치의 분해생성물 함량 보고 |
5. | 분해생성물 규격 |
6. | 분해생성물의 안전성 입증 |
7. | 용어 정의 |
첨부 1: 신규 완제의약품 중의 분해생성물 한계 기준 | |
첨부 2: 분해생성물의 구조확인 및 안전성입증 결과를 신청 서류에 기술하는 방법(예) | |
첨부 3: 분해생성물의 구조확인 및 안전성입증 의사결정도 |
Q4B ICH 지역 내 상호 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2015.10)
1. | 서론 |
1.1 | 가이드라인 목적 |
1.2 | 배경 |
1.2.1 | 약전위원회(PDG) |
1.2.2 | 전문가위원회(EWG) |
1.3 | 가이드라인 범위 |
1.4 | 일반 원칙 |
2. | 가이드라인 |
2.1 | Q4B 평가 절차 |
2.1.1 | 1단계 |
2.1.2 | 2단계 |
2.1.3 | 3단계 |
2.1.4 | 4단계 |
2.1.5 | 5단계 |
2.2 | 부록 내용 |
2.3 | 약전 규격 활용 |
2.3.1 | 실행을 위한 고려사항 |
3. | 용어정의 |
첨부I: | ICH Q64 개발 시, 논의된 일반 시험법 |
첨부II: | ICH Q4B 전문가위원회(EWG) 평가를 위해 제출하는 약전위원회(PDG) 문서 |
Q4B Annex 1(R1) | ICH 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강열 잔분 시험법 |
Q4B Annex 2(R1) | ICH_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주사제의 실용량 시험법 |
Q4B Annex 3(R1) | ICH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미립자 오염 시험 불용성 미립자 시험법 |
Q4B Annex 4A(R1) | ICH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비 무균 제품의 미생물학적 시험 생균 수 시험 |
Q4B Annex 4B(R1) | ICH 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비 무균 제품의 미생물학적 시험 특정 미생물 시험 |
Q4B Annex 4C(R1) | ICH 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비 무균 제품의 미생물학적 시험 제제 및 원료의약품 허용 기준치 |
Q4B Annex 5(R1) |
ICH 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붕해시험법 |
Q4B Annex 6 | ICH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제제균일성 시험법 |
Q4B Annex 7(R2) | ICH 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용출시험법 |
Q4B Annex 8(R1) | ICH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무균시험법 |
Q4B Annex 9(R1) | ICH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마손도 시험법 |
Q4B Annex 10(R1) | ICH 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법 |
Q4B Annex 11 | ICH 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모세관 전기 영동법 |
Q4B Annex 12 | ICH 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입도측정법 체로 법 |
Q4B Annex 13 | ICH 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겉보기밀도 및 탭밀도 측정법 |
Q4B Annex 14 | ICH 지역 내 상호이용을 위한 약전문의 평가 및 권고 엔도톡신 시험법 |
Q5A(R1) 인간 또는 동물 세포주 유래 생명공학의약품의 바이러스 안전성 평가
1. | 서론 |
2. | 바이러스 오염 가능원 |
A. | 마스터 세포 은행(MCB)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바이러스 |
B. | 생산 중 유입될 수 있는 외래성 바이러스 |
3. | 세포주 적격성: 바이러스 시험 |
A. | 마스터 세포 은행(MCB), 제조용 세포 은행(WCB), 생산용 체외 세포 한계 연령 세포를 위해 제안되는 바이러스 시험 |
1. | 마스터 세포 은행 |
2. | 제조용 세포 은행 |
3. | 생산용 체외 세포 한계 연령 세포 |
B. | 권장 바이러스 검출 및 확인 분석 |
1. | 레트로바이러스 시험 |
2. | 체외 분석 |
3. | 체내 분석 |
4. | 항체 생산 시험 |
C. | 세포주 유효성 |
4. | 미가공 벌크 바이러스 시험 |
5. | 정제 벌크 바이러스 시험 및 바이러스 클리어런스 시험을 위한 근거와 행동계획 |
6. | 바이러스 클리어런스 공정의 평가와 특성 분석 |
A. | 바이러스 클리어런스의 평가와 특성 분석을 위한 바이러스 선택 |
1. | "관련" 바이러스와 "모델" 바이러스 |
2. | 기타 고려사항 |
B. | 바이러스 클리어런스 평가 및 특성 분석 시험의 설계 및 함의 |
1. | 시설 및 근무자 |
2. | 규모 축소 생산 시스템 |
3. | 단계별 바이러스 제거 분석 |
4. | 물리적 제거와 불활화 결정 |
5. | 불활화 평가 |
6. | 칼럼의 기능 및 재생 |
7. | 특이 주의사항 |
C. | 바이러스 클리어런스 시험의 해석 |
D. | 바이러스 클리어런스 시험의 한계 |
E. | 통계 |
F. | 바이러스 클리어런스의 재평가 |
7. | 요약 |
8. | 용어정의 |
표 1: | 다양한 세포 수준에서 실시하는 바이러스 시험 |
표 2: | 바이러스 시험에 사용되는 분석 및 한계 예시 |
표 3: | 항체 생산 시험 내 검출 바이러스 |
표 4: | 정제 벌크의 바이러스 클리어런스 및 바이러스 시험의 공정 평가를 위한 행동 계획 |
첨부 1: | 특성 분석된 세포 은행을 체내에서 증식시켜 유래한 제품 |
첨부 2: | 바이러스 클리어런스 시험을 위한 바이러스 선택 |
표 A-1: | 바이러스 클리어런스 시험에 사용된 바이러스 예시 |
첨부 3: | 바이러스 분석을 위한 통계 고려사항 |
첨부 4: | 바이러스 클리어런스 결정을 위한 시험의 감소 요인 계산 |
첨부 5: | 용량별 입자 추정치 계산 |
Q5B 바이오의약품 품질: 재조합 DNA 유래 단백질 제품 생산용 세포의 발현 구조체 분석
1. | 서론 |
2. | 발현 구조체 분석 근거 |
3. | 발현 시스템 특성 분석 |
A. | MCB(Master Cell Bank: 마스터 세포 은행) 개발용 발현 구조체 및 세포 클론 |
B. | 세포 은행 시스템 |
C. | 샌산용 체외 세포 연령 제한(Limit for In Vitro Cell Age for Production) |
4. | 결론 |
용어정의 |
Q5C 생명공학의약품 품질: 생명공학/생물의약품 안정성 시험
1. | 서론 |
2. | 부속서 범위 |
3. | 용어 |
4. | 뱃치 선정 |
4.1. | 원료의약품 (벌크 물질) |
4.2. | 반제품 |
4.3. | 의약품(최종 용기 제품) |
4.4. | 검체 선정 |
5. | 안정성 지표 프로파일 |
5.1. | 계획서 |
5.2. | 역가 |
5.3. | 순도 및 분자 특성 분석 |
5.4. | 기타 제품 특성 |
6, | 보관 조건 |
6.1. | 온도 |
6.2. | 습도 |
6.3. | 가속 및 가혹 조건 |
6.4. | 빛(광선) |
6.5. | 용기/마개 |
6.6. | 동결 건조 제품 용해 후 안정성 |
7. | 시험빈도 |
8. | 규격 |
9. | 표시 사항 |
10. | 용어정의 |
Q5D 생물공학/생물 의약품 생산에 사용되는 세포기질의 유래와 특성 결정
1. | 서론 |
1.1 | 목적 |
1.2 | 근거 |
1.3 | 적용범위 |
2. | 가이드라인 |
2.1 | 세포기질의 출처, 이력, 생성 |
2.1.1 | 서론 |
2.1.2 | 세포의 기원, 출처, 이력 |
2.1.3 | 세포기질의 생성 |
2.2 | 세포은행 제조 |
2.2.1 | 세포은행 제조 시스템 |
2.2.2 | 세포은행 제조 과정 |
2.3 | 세포은행 특성 결정 및 시험의 일반 원칙 |
2.3.1 | 확인 시험 |
2.3.1.1 | 후생동물세포 |
2.3.1.2 | 미생물 세포 |
2.3.2 | 순도 시험 |
2.3.2.1 | 후생동물세포 |
2.3.2.2 | 미생물세포 |
2.3.3 | 세포기질 안정성 |
2.3.4 | 핵형분석 및 종양유전자 시험 |
3. | 용어정의 |
부록 1: | 초대 세포기질 |
Q5E 제조 공정 변경 대상 생명공학/생물학적 제품의 비교동등성
1. | 서론 |
1.1 | 목적 |
1.2 | 배경 |
1.3 | 범위 |
1.4 | 일반원칙 |
2. | 가이드라인 |
2.1 | 비교동등성 평가 시 고려사항 |
2.2 | 품질 관련 고려사항 |
2.2.1 | 분석 기법 |
2.2.2 | 특성 분석 |
2.2.3 | 규격 |
2.2.4 | 안정성 |
2.3 | 제조 공정 관련 고려사항 |
2.4 | 개발 중 비교동등성 증명 |
2.5 | 비임상·임상 관련 고려사항 |
2.5.1 | 비임상 ·임상 시험 계획 시 고려 요소 |
2.5.2 | 시험 유형 |
3. | 용어정의 |
4. | 참고문헌 |
Q6A 규격: 신규 원료의약품 및 신규 완제의약품의 시험 절차 및 판정 기준: 화학 성분
1. | 서론 |
1.1 | 목적 |
1.2 | 배경 |
1.3 | 적용범위 |
2. | 일반적인 개념 |
2.1 | 주기적 시험 또는 약식시험 |
2.2 | 출하승인 판정 기준 vs. 유효 기간을 고려한 판정 기준 |
2.3 | 공정 중 시험 |
2.4 | 설계 및 개발 관련 고려 사항 |
2.5 | 허가 신청 시 사용 가능한 데이터 수의 한계 |
2.6 | 변수기반 출하방식 |
2.7 | 대체 절차 |
2.8 | 약전 일반시험법 및 판정 기준 |
2.9 | 기술의 진보 |
2.10 | 원료의약품이 완제의약품 규격에 미치는 영향 |
2.11 | 표준품 |
3. | 가이드라인 |
3.1 | 규격: 정의 및 타당성 |
3.1.1 | 규격의 정의 |
3.1.2 | 규격의 타당성 입증 |
3.2 | 공통 시험/판정기준 |
3.2.1 | 신규 원료의약품 |
3.2.2 | 신규 완제의약품 |
3.3 | 특이적 시험/판정 기준 |
3.3.1 | 신규 원료의약품 |
3.3.2 | 신규 완제의약품 |
4. | 용어정의 |
6. | 참고문헌 |
7. | 첨부 |
Q6B 규격: 생명공학/생물의약품에 대한 시험절차 및 판정기준
1. | 서론 |
1.1 | 목적 |
1.2 | 배경 |
1.3 | 적용 범위 |
2. | 규격 설정시 고려할 원칙 |
2.1 | 특성 분석 |
2.1.1 | 이화학적 특성 |
2.1.2 | 생리활성 |
2.1.3 | 면역화학적 특성 |
2.1.4 | 순도, 불순물, 오염물질 |
2.1.5 | 함량 |
2.2 | 분석적 고려사항 |
2.2.1 | 표준품 및 표준물질 |
2.2.2 |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
2.3 | 공정관리 |
2.3.1 | 공정 관련 고려사항 |
2.3.2 | 공정 중 판정기준 및 조치기준 |
2.3.3 | 원료 및 첨가물 규격 |
2.4 | 약전 규격 |
2.5 | 출하승인 기준 대 유효기간 기준 |
2.6 | 통계학적 개념 |
3. | 규격의 타당성 입증 |
4. | 규격 |
4.1 | 원료의약품 규격 |
4.1.1 | 성상 및 설명 |
4.1.2 | 확인 |
4.1.3 | 순도 및 불순물 |
4.1.4 | 역가 |
4.1.5 | 함량 |
4.2 | 완제의약품 규격 |
4.2.1 | 성상 및 설명 |
4.2.2 | 확인 |
4.2.3 | 순도 및 불순물 |
4.2.4 | 역가 |
4.2.5 | 함량 |
4.2.6 | 일반 시험 |
4.2.7 | 고유 제형별 추가시험 |
5. | 용어정의 |
6. | 부록 |
6.1 |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부록 |
6.1.1 | 구조적 특성분석 및 확인 |
6.1.2 | 이화학적 특성 |
6.2 | 불순물에 대한 부록 |
6.2.1 | 공정 관련 불순물 및 오염물질 |
6.2.2 | 분해산물을 포함한 제품 관련 불순물 |
Q7 원료의약품에 대한 GMP 해설서
1. | 서론 |
1.1 | 목적 |
1.2 | 규제 적용 가능성 |
1.3 | 적용 범위 |
2. | 품질 관리 |
2.1 | 원칙 |
2.2 | 품질 부서의 책임 |
2.3 | 생산 활동에 대한 책임 |
2.4 | 내부 감사(자체 점검) |
2.5 | 제품 품질 심사 |
3. | 직원 |
3.1 | 직원의 자격 |
3.2 | 직원의 위생 |
3.3 | 자문 |
4. | 건물 및 설비 |
4.1 | 설계 및 건설 |
4.2 | 유틸리티 |
4.3 | 용수 |
4.4 | 밀폐 |
4.5 | 조명 |
4.6 | 하수 및 폐기물 |
4.7 | 위생 및 유지보수 |
5. | 공정 장비 |
5.1 | 설계 및 건설 |
5.2 | 장비의 유지보수 및 세척 |
5.3 | 교정 |
5.4 | 전산화 시스템 |
6. | 문서자료 및 기록 |
6.1 | 문서자료 시스템 및 규격 |
6.2 | 장비 세척 및 사용 기록 |
6.3 | 원료, 중간체, 원료의약품(API) 라벨링 및 포장자재 기록 |
6.4 | 마스터 생산 지시서(마스터 생산 및 관리 기록) |
6.5 | 뱃치 생산 기록(뱃치 생산 및 관리 기록) |
6.6 | 실험실 관리 기록 |
6.7 | 뱃치 생산 기록 검토 |
7. | 원자재 관리 |
7.1 | 일반 관리 |
7.2 | 수령 및 격리 |
7.3 | 입고 생산 원자재의 검체 채취 및 시험 |
7.4 | 보관 |
7.5 | 재평가 |
8. | 생산 및 공정 중 관리 |
8.1 | 생산 작업 |
8.2 | 시간제한 |
8.3 | 공정 중 검체 채취 및 관리 |
8.4 | 중간체 또는 원료의약품(API)의 혼합 뱃치 |
8.5 | 오염 관리 |
9. | 원료의약품(API) 및 중간체 포장 및 식별 라벨링 |
9.1 | 일반사항 |
9.2 | 포장자재 |
9.3 | 라벨 발행 및 관리 |
9.4 | 포장 및 라벨링 작업 |
10. | 보관 및 출하 |
10.1 | 보관 절차 |
10.2 | 출하 절차 |
11. | 실험실 관리 |
11.1 | 일반 관리 |
11.2 | 중간체 및 원료의약품(API) 시험 |
11.3 | 시험 방법의 밸리데이션 - 섹션 12 참조 |
11.4 | 시험 성적서 |
11.5 | 원료의약품(API)의 안정성 모니터링 |
11.6 | 유효일 및 재시험 일정 |
11.7 | 예비(reserve) / 보유 검체 |
12. | 밸리데이션 |
12.1 | 밸리데이션 방침 |
12.2 | 밸리데이션 문서자료 |
12.3 | 적격성 |
12.4 | 공정 밸리데이션 방법 |
12.5 | 공정 밸리데이션 프로그램 |
12.6 | 밸리데이션된 시스템의 정기적 심사 |
12.7 | 세척 밸리데이션 |
12.8 | 분석법 밸리데이션 |
13. | 변경 관리 |
14. | 원자재 부적합 처리 및 재사용 |
14.1 | 부적합 처리 |
14.2 | 재가공 |
14.3 | 재작업 |
14.4 | 중간체 및 용매 회수 |
14.5 | 반품 |
15. | 불만 및 회수 |
16. | 수탁 제조업자(실험실 포함) |
17. | 대리점, 중개인, 무역업자, 유통업자, 재포장업자, 재표시업자 |
17.1 | 적용가능성 |
17.2 | 유통된 API 및 중간체 추적 가능성 |
17.3 | 품질 관리 |
17.4 | API 재포장, 재표시, 보관 |
17.5 | 안정성 |
17.6 | 정보 전달 |
17.7 | 불만 및 회수 처리 |
17.8 | 반품 처리 |
18. | 세포 배양/발효로 제조한 원료의약품(API)에 대한 특정 지침 |
18.1 | 일반사항 |
18.2 | 세포은행 유지관리 및 기록 관리 |
18.3 | 세포 배양/발효 |
18.4 | 채취, 분리 및 정제 |
18.5 | 바이러스 제거/불활성 단계 |
19. | 임상시험에 사용하는 원료의약품(API) |
19.1 | 일반사항 |
19.2 | 품질 |
19.3 | 장비 및 시설 |
19.4 | 원재료 관리 |
19.5 | 생산 |
19.6 | 밸리데이션 |
19.7 | 변경 |
19.8 | 실험실 관리 |
19.9 | 문서자료 |
20. | 용어정의 |
Q8(R2) 의약품 개발
제 I부: | 의약품 개발 |
1. | 서론 |
1.1 | 목적 |
1.2 | 적용범위 |
2. | 일반적인 개념 |
2.1 | 의약품의 구성성분 |
2.1.1 | 원료의약품 |
2.1.2 | 첨가제 |
2.2 | 의약품 |
2.2.1 | 의약품 설계 |
2.2.2 | 과량 투입 |
2.2.3 |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특성 |
2.3 | 제조공정의 개발경위 |
2.4 | 용기 마개 시스템 |
2.5 | 미생물학적 관점에서 본 특징 |
2.6 | 배합적합성 |
3. | 용어정의 |
제 II부: | 의약품 개발 부록 |
1, | 서론 |
2. | 의약품 개발의 요소 |
2.1 | 제품의 품질 목표 |
2.2 | 중요품질특성 |
2.3 | 위해 평가 - 완제품 중요품질특성과 원료 특성 및 공정변수 연계 |
2.4 | 설계공간 |
2.4.1 | 변수의 설정 |
2.4.2 | 제출서류에 기술 할 설계공간 |
2.4.3 | 단위 공정 설계공간 |
2.4.4 | 설계공간과 규모 및 설비와의 관계 |
2.4.5 | 설계공간 대(對) 입증된 허용범위 |
2.4.6 | 설계공간과 실패한도 |
2.5 | 관리 전략 |
2.6 | 제품 전주기 관리와 지속적 개선 |
3. | 국제 공통 기술 문서 양식에서의 의약품 개발 및 관련 정보 제출 |
3.1 | 품질 위해 관리와 제품개발 및 공정개발 |
3.2 | 설계공간 |
3.3 | 관리 전략 |
3.4 | 원료의약품 관련 정보 |
4. | 용어정의 |
부록 1. | 그 밖의 의약품 개발법 |
부록 2. | 실례 |
Q9 품질 위해 관리
1. | 서론 |
2. | 적용범위 |
3. | 품질 위해 관리 원칙 |
4. | 일반적인 품질 위해 관리 절차 |
4.1 | 책임 |
4.2 | 품질 위해 관리 절차의 개시 |
4.3 | 위해 평가 |
4.4 | 위해 통제 |
4.5 |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
4.6 | 위해 검토 |
5. | 위해 관리 방법 |
6. | 품질 위해 관리 및 업계와 규제 활동의 통합 |
7. | 용어 정의 |
8. | 참고문헌 |
부록 1: | 위해 관리 방법 및 도구 |
1.1 | 기본 위해 관리 촉진 방법 |
1.2 | 불이행 형태 영향 분석 |
1.3 | 불이행 형태, 영향 및 임계 분석 |
1.4 | 불이행의 원인 흐름도 분석 |
1.5 | 위해 요소 중점 관리 기준 |
1.6 | 위해 운전 분석 |
1.7 | 사전 위해 분석 |
1.8 | 위해 순위 선별법 |
1.9 | 통계적 도구의 지원 |
부록 2: | 품질 위해 관리 기법의 적용 |
2.1 | 통합 품질 관리의 일부로서 품질 위해 관리 |
2.2 | 규제 업무의 일부로서 품질 위해 관리 |
2.3 | 개발의 일부로서 품질 위해 관리 |
2.4 | 시설, 설비, 유틸리티의 품질 위해 관리 |
2.5 | 물품 관리의 일부로서 품질 위해 관리 |
2.6 | 생산의 일부로서 품질 위해 관리 |
2.7 | 시험 관리 및 안정성 시험의 일부로서 품질 위해 관리 |
2.8 | 포장 및 라벨 작업의 일부로서 품질 위해 관리 |
Q10 의약품 품질 시스템
1. | 의약품 품질 시스템 |
1.1 | 서론 |
1.2 | 적용범위 |
1.3 | ICH Q10과 각 지역 GMP, ISO 규격, ICH Q7과의 관계 |
1.4 | ICH Q10과 규제적 접근방법의 관계 |
1.5 | ICH Q10의 목표 |
1.5.1 | 제품 실현의 달성 |
1.5.2 | 적절한 관리 상태의 확립/유지 |
1.5.3 | 지속적 개선 촉진 |
1.6 | 달성을 위한 수단 : 지식 관리와 품질 위해 관리 |
1.6.1 | 지식 관리 |
1.6.2 | 품질 위해 관리 |
1.7 | 설계 및 내용에 관해 고려할 사항 |
1.8 | 품질 설명서 |
2. | 경영진 책임 |
2.1 | 경영진의 책무 |
2.2 | 품질 방침 |
2.3 | 품질 계획 |
2.4 | 자원 관리 |
2.5 | 부의 정보 상호 소통 |
2.6 | 경영진 검토 |
2.7 | 외부위탁 업무 및 구매 원자재 등의 감독 |
2.8 | 제품 소유권 변경의 관리 |
3. | 공정성능 및 제품 품질의 지속적 개선 |
3.1 | 전주기 단계별 목적 |
3.1.1 | 제제 개발 |
3.1.2 | 기술 이전 |
3.1.3 | 시판용 제조 |
3.1.4 | 제품 종결 |
3.2 | 의약품 품질 시스템 요소 |
3.2.1 | 공정성능 및 제품 품질 점검 시스템 |
3.2.2 |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CAPA) |
3.2.3 | 변경 관리 시스템 |
3.2.4 | 공정성능 및 제품 품질의 경영진 검토 |
4. | 의약품 품질 시스템의 지속적 개선 |
4.1 | 의약품 품질 시스템의 경영진 검토 |
4.2 | 의약품 품질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내적/외적 요소 점검 |
4.3 | 경영진 검토 및 점검 성과 |
5. | 용어정의 |
부록 1: | 과학 및 위해 기반 규제적 접근방법의 강화 기회 |
부록 2: | ICH Q10 의약품 품질 시스템 모델의 개략도 |
Q11 원료의약품(화학적 성분 및 생명공학/생물학적 성분) 개발 및 제조
1 | 서론 |
2. | 적용범위 |
3. | 제조 공정 개발 |
3.1 | 일반 원칙 |
3.1.1 | 완제의약품과 연계된 원료의약품 품질 |
3.1.2 | 공정 개발 도구 |
3.1.3 | 개발 방법 |
3.1.4 | 원료의약품 중요품질특성 |
3.1.5 | 물품 특성 요소 및 공정 지표와 원료의약품 중요품질특성의 연계 |
3.2 | 제조 공정 개발 정보의 제출 |
3.2.1 | 공정 개발 요약 |
3.2.2 | 원료의약품 중요품질특성 |
3.2.3 | 제조 공정 이력 |
3.2.4 | 제조 개발 시험 |
4. | 제조 공정 및 공정 관리 |
5. | 출발 물질과 기원 물질의 선정 |
5.1 | 일반 원칙 |
5.1.1 | 합성 원료의약품의 출발 물질 선정 |
5.1.2 | 반합성 원료의약품의 출발 물질 선정 |
5.1.3 | 생명공학/생물학적 원료의약품의 기원 물질과 출발 물질 선정 |
5.2 | 출발 물질 또는 기원 물질에 관한 정보의 제출 |
5.2.1 | 합성 원료의약품의 출발 물질 선정에 관한 타당성 증명 |
5.2.2 | 반합성 원료의약품의 출발 물질 선정에 관한 타당성 증명 |
5.2.3 | 생명공학/생물학적 원료의약품 제조용 출발 물질 또는 기원 물질의 적격성평가 |
6. | 관리 전략 |
6.1 | 일반 원칙 |
6.1.1 | 관리 전략 개발 방법 |
6.1.2 | 관리 전략 개발 시의 고려 사항 |
6.2 | 관리 전략 정보의 제출 |
7. | 공정 밸리데이션/평가 |
7.1 | 일반 원칙 |
7.2 | 생명공학/생물학적 원료의약품 특이적 원칙 |
8. | CTD 형식에 의한 제조 공정 개발 및 관련 정보의 제출 |
8.1 | 품질 위해 관리 및 공정 개발 |
8.2 | 중요품질특성 |
8.3 | 설계 공간 |
8.4 | 관리 전략 |
9. | 전주기 관리 |
10. | 실례 |
10.1 | 예 1: 물품 특성 요소 및 공정 지표와 원료의약품 중요품질특성과의 연계-화학물질 |
10.2 | 예 2: 공정 지표의 전주기 관리를 뒷받침하는 품질 위해 관리 |
10.3 | 예 3: 생명공학 원료의약품 단위 공정의 설계 공간 |
10.4 | 예 4: 적절한 출발 물질의 선정 |
10.5 | 예 5: 지정 중요품질특성의 관리 요소 요약 |
11. | 용어정의 |
Q12 의약품 전주기 관리를 위한 기술 및 규제 고려사항
1 | 서론 |
1.1 | 목적(Objectives) |
1.2 | 적용범위(Scope) |
1.3 | ICH Q12 규제수단 및 지원요소(ICH Q12 Regulatory Tools and Enablers) |
2. | 허가 후 CMC 변경의 분류(Categorisation of Post-Approval CMC Changes) |
3. | 관리항목(Established Conditions, EC) |
3.1 | 서론(Introduction) |
3.2 | 규제 당국 자료 제출 시 관리항목의 역할(ECs in the Regulatory Submission) |
3.2.1 | 관리항목의 정의(ECs Definition) |
3.2.2 | 규제당국 자료 제출시 관리항목(EC in a Regulatory Dossier) |
3.2.3 | 관리항목의 규명(Identification of ECs) |
3.2.3.1 | 제조공정의 관리항목 규명(Identification of ECs for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3.2.3.2 | 시험방법의 관리항목 규명 (Identification of ECs for the Analytical Processes) |
3.2.4 | 관리항목의 변경(Revision of ECs) |
3.3 | 역할 및 책임(Roles and Responsibilities) |
4. | 허가 후 변경관리 계획서(Post-Approval Change Management Protocol, PACMP) |
4.1 | PACMP의 정의(Deifinition of a PACMP) |
4.2 | PACMP의 적용(Application of PACMP) |
4.3 | PACMP의 요소(Elemeents of a PACMP) |
4.4 | 승인된 PACMP의 변경(Modification to an Approved PACMP) |
4.5 | PACMP의 종류(Types of PACMP) |
5. | 제품 전주기 관리 문서(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CM) |
5.1 | PLCM 문서: 적용 범위(PLCM Document: Scope) |
5.2 | PLCM 문서의 제출(Submitting the PLCM Document) |
5.3 | PLCM 문서의 유지관리(Maintenance of the PLCM Document) |
5.4 | PLCM 문서의 양식 및 작성위치(Format and Location of PLCM Document) |
6. | 의약품 품질 시스템 및 변경관리(Pharmaceutical Quality System(PQS) and Change management) |
6.1 | PQS 일반 고려사항(PQS General Considerations) |
6.2 | 공급망 및 제품 전주기에 걸친 변경관리(Change Management Across the Supply Chain and Product Lyfecycle) |
7. | 규제당국의 평가와 실태조사와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Assessment and Inspection) |
8. | 빈번한 CMC 허가 후 변경의 구조적 접근법(Structured Approaches for Frequent CMC Post-Approval Chages) |
9. | CMC 변경의 평가를 위한 안정성자료 접근법(Stability Data Approaches to Support The Evaluation of CMC Changes) |
10. | 용어집(Glossary) |
11. | 참고문헌(References) |
부록 1: | 관리항목이 포함된 CTD 항목(CTD Sections that Contain ECs) |
부록 2: | 변경관리 원칙(Principles of Change Management) |
Q13 CONTINUOUS MANUFACTURING OF DRUG SUBSTANCES AND DRUG PRODUCTS(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의 연속 공정)
Part I | CONTINUOUS MANUFACTURING OF DRUG SUBSTANCES AND DRUG PRODUCTS |
1 | INTRODUCTION(서론) |
1.1. | Objective(목적) |
1.2. | Scope(적용범위) |
2 | CM CONCEPTS(연속 공정 컨셉) |
2.1. | Different Modes of CM(연속 공정의 다양한 모드) |
2.2. | Batch definition (배치의 정의) |
3. | SCIENTIFIC APPROACHES (과학적 접근) |
3.1. | Control Strategy (관리 전략) |
3.2. | Changes in Production Output (생산량의 변화) |
3.3. | Continous Process Valiation (연속 공정 밸리데이션) |
4. | REGULATORY CONSIDERATIONS (규제 고려사항) |
4.1. | Descrip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Process Controls (제조 공정과 공정 관리의 정의) |
4.2. | Control Strategy (관리 전략) |
4.3. | Batch Description and Batch Size (배치의 전략과 배치의 크기) |
4.4. | Process Models (공정 모델) |
4.5. | Drug Substance and Drug Product Stability (원료 의약품과 완제 의약품의 안정성) |
4.6. | Conversion of a Batch Process to CM (배치 공정에서 연속 공정으로의 전환) |
4.7. | Process Validation (공정 밸리데이션) |
4.8. | Pharmaceutical Quality System (제약 품질 시스템) |
4.9. | Lifecycle Management (전주기 관리) |
4.10. | Submission of CM-Specific Information in the CTD (CTD에 연속 공정 관련 정보의 제공) |
5. | GLOSSARY (용어정리) |
6. | REFERENCES (참고문헌) |
Part II: | ANNEXES (부록) |
ANNEX I : | CONTINUOUS MANUFACTURING OF DRUG SUBSTANCES (CHEMICAL ENTITIES) (원료 의약품의 연속 공정 (화학 물질) |
1. | INTRODUCTION AND EXAMPLE SYSTEM OVERVIEW (소개 및 시스템 개요 예시) |
2. | CONTROL STRATEGY AND OTHER TECHNICAL CONSIDERATIONS (관리 전략과 이외의 기술적인 고려사항) |
2.1 | Equipment Design and Integration (장비 설계와 통합) |
2.2 | Process Control and Monitoring (공정 관리 및 모니터링) |
2.3 | Consideration of Other Controls (그 외 관리에서의 고려사항) |
2.4 | Process Validation (공정 밸리데이션) |
3. | REGULATORY CONSIDERATIONS (규제 고려사항) |
ANNEX II: | CONTINUOUS MANUFACTURING OF DRUG PRODUCTS (CHEMICAL ENTITIES) (완제 의약품의 연속 공정 (화학 물질)) |
1. | INTRODUCTION AND EXAMPLE SYSTEM OVERVIEW (소개 및 시스템 개요 예시) |
2. | CONTROL STRATEGY AND OTHER TECHNICAL CONSIDERATIONS (관리 전략과 이외의 기술적인 고려사항) |
2.1. | Material Characterisation and Control (원료 특성과 관리) |
2.2. | Equipment Design and Integration (장비 설계와 통합) |
2.3. | Process Controls and Monitoring ( 공정 관리 및 모니터링) |
2.4. | Process Validation (공정 밸리데이션) |
3. | REGULATORY CONSIDERATIONS (규제 고려사항) |
ANNEX III: | CONTINOUS MANUFACTURING OF DRUG SUBSTANCES (THERAPEUTIC PROTEINS) (원료 의약품의 연속 공정(단백질 의약품)) |
1. | INTRODUCTION AND EXAMPLE SYSTEM OVERVIEW (소개 및 시스템 개요 예시) |
2. | CONTROL STRATEGY (관리 전략) |
2.1. | Adventitious Agent Control (외래 인자 통제) |
2.3 | Process Monitoring and Real-Time Release Testing (공정 모니터링 및 동시적 출하 시험) |
3. | PROCESS VALIDATION (공정 밸리데이션) |
3.1 | Approaches to Process Validation (공정 밸리데이션의 접근방법) |
3.2 | Run Time Considerations (공정 시간 고려사항) |
3.3 | Viral Clearance Validation (바이러스 제거 검증) |
ANNEX IV: | INTEGRATED DRUG SUSTANCE AND DRUG PRODUCT CONTINUOUS MANUFACTURING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의 통합 연속 제조 공정) |
1. | INTRODUCTION (개요) |
2. | INTEGRATED SMALL MOLECULE DRUG SUBSTANCE/DRUG PRODUCT PROCESS (저분자 원료의약품/완제의약품 통합 공정) |
2.1. | Chracteristics of Drug Substance and Drug Product Process Steps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의 공정 단계 특징) |
2.2. | Example of an Integrated Process (통합 공정의 예시) |
2.3. | Process Design, Monitoring and Control (공정 설계, 제어 및 모니터링) |
2.4. | Start-up and Shutdown (시작 및 종료) |
2.5. | RTD Chracterisation for System Dynamics and Material Traceability (시스템 역학 및 원료 추적을 위한 RTD 특성화) |
3. | SPECIFICATION AND BATCH DATA (특성 및 배치 데이터) |
3.1. | Drug Substance Specification (원료의약품 특성) |
3.2. | Drug Product Specification (완제의약품 특성) |
4. | STABILITY REQUIREMENTS (안정성 요구 사항) |
4.1. | Drub Substance Stability (원료의약품 요구 사항) |
4.2. | Drug Product Stability (완제의약품 요구 사항) |
5. | LOCATION OF DRUG SUBSTANCE AND DRUG PRODUCT INFORMATION IN THE CTD (CTD에서의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의 위치 정보) |
ANNEX V: | PERSPECTIVES ON MANAGEING DISTURBANCES (방해 요소[간섭]에 대한 접근법) |
1. | INTRODUCTION (개요) |
2. | BACKGROUND (배경) |
3. | MANAGEMENT OF DISTURBANCES (방해 요소[간섭]의 관리) |
3.1 | Disturbance Example 1 (방해 요소[간섭] 사례 1) |
3.2 | Disturbance Example 2 ( 방해 요소[간섭] 사례 2) |
3.3 | Disturbance Exmaple 3 ( 방해 요소[간섭] 사례 3) |
반응형
Q14(초안) ANALYTICAL PROCEDURE DEVELOPMENT(분석 절차 개발)
1 | INTRODUCTION(서론) |
1.1. | Objective of the Guideline(가이드라인의 목적) |
2. | SCOPE (적용범위) |
2.1 | General Considerations for Analytical Procedure Development and Lifecycle Management (분석 절차 개발과 전주기 관리를 위한 일반적인 고려사항) |
2.2 | Minimal Versus Enhanced Approaches to Analytical Procedure Development (분석 절차 개발에 대한 최소한의 접근 방식과 향상된 접근 방식) |
2.3 | The Analytical Proceduer Lifecyle (분석 절차 라이프사이클) |
3. | ANALYTICAL TARGET PROFILE(ATP) (분석 대상 프로필) |
4. | KNOWLAGE AND RISK MANAGEMENT IN ANALYTICAL PROCEDURE DEVELOPMENT AND CONTINUAL IMPROVEMENT (분석 절차 개발 및 지속적인 개선에 대한 지식과 위험 관리) |
4.1 | Knowlege Management (지식 관리) |
4.2 | Risk Management (위험 관리) |
5. | EVALUATION OF ROBUSTNESS AND PARAMETER RANGES OF ANALYTICAL PROCEDURES (분석 절차의 견고성 및 매개변수 범위의 평가) |
5.1 | Robustness (견고성) |
5.2 | Analytical Procedure Prarmeter Ranges (분석 절차 매개변수의 범위) |
6. | ANALYTICAL PROCEDURE CONTROL STRATEGY (분석 절차 관리 전략 |
6.1 | Established Conditions for Analytical Procedures (분석 절차에 대해 확립된 조건) |
7. | LIFECYCLE MANAGEMENT AND POST-APPROVAL CHANGES OF ANALYTICAL PROCEDURES (분석 절차의 전주기 관리 및 승인 후 변경) |
8. | DEVELOPMENT OF MULTIVARIATE ANALYTICAL PROCEDURES (다변량 분석 절차의 개발) |
9. | DEVELOPMENT OF ANALYTICAL PROCEDURES FOR REAL TIME RELEASE TESTING: SPECIAL CONSIDERATIONS (실시간 방출 시험을 위한 분석 절차 개발 : 특별 고려사항) |
10. | SUBMISSION OF ANALYTICAL PROCEDURE RELATED INFORMATION (분석 절차 관련 정보 제출) |
10.1 | General Regulatory Consideration and Documentation (일반적인 규제 고려사항과 문서화) |
10.2 | Documentation for the Enhanced Approach (향상된 접근 방식의 문서화) |
10.3 | Documentaion for Multivariate Analytical Procedures and RTRT (다변량 분석 방식과 RTRT의 문서화) |
11. | GROSSARY (용어정리) |
12. | REFERENCES (참고문헌) |
13. | ANNEX (부록) |
13.1 | Annex A - Analytical Procedure Lifecycle (부록 A - 분석 절차 전주기) |
13.1.1 | Mesurement of Stereoisomers as Specific Process Related Impurities in a Small Molecule Drug Substance (DS) (저분자 원료의약품(DS)의 특정 공정 관련 불순물인 입체 이성질체의 측정) |
13.1.2 | Measurement of Potency for an anti-TNF-alph Monoclonal Antibody (항-TNF-alph 단일클론항체에 대한 성능 측정) |
13.2 | Annex B : Validation Strategies for MODRs (부록 B: MODR의 검증 전략) |
13.3 | Annex C : Example of Multivariate Model Lifecycle Components (부록 C: 다변량 모델의 전주기 구성요소의 예시) |
반응형
'제약 및 의료기기, GMP > 국내외 규정 및 가이드라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FDA]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CGMP) 해설서(민원인 안내서) 3개정 목차 총정리 (0) | 2023.12.14 |
---|---|
[EU GMP] 무균 공정 밸리데이션(APS)의 충전 단위 수량은 어떻게 설정할까? (배치 수량) (0) | 2023.11.06 |
[EU GMP] 갱의 밸리데이션에 포함해야 하는 시험 항목은? (Annex 1 개정) (0) | 2023.11.04 |
[KFDA/KGMP] 원료의약품 등록 제도(DMF)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9.27 |
의료기기 QMS 운영을 위한 문서 - QMS 개요 (중소규모 의료기기 제조업체를 위한 GMP운영 가이드라인, 2010) (0) | 2023.03.10 |
의료기기 QMS 운영을 위한 문서 ; QMS 구축 (중소규모 의료기기 제조업체를 위한 GMP운영 가이드라인, 2010) (0) | 2023.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