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일을 해야 경쟁력이 생긴다
4. 많은 직장인들의 착각 중 하나는 현재 맡은 일을 능숙하게 하는것을 전문성이라 여기는 것이다. 오래 근무한다고 반복을 많이 한다고 전문성이 생기는 것이 아니다. 요령이 생기고 효율이 생기는 것이지 전문성이 높아지는 게 아니다. 기업에 가보면 규모가 클수록 숙련도가 높은 사람은 많지만 전문성이 높은 사람은 별로 없다.
5. 숙련도와 전문성의 차이를 정리하면?
- 숙련도: (남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반복해서 효율이 높아진 것. 쉬운 문제를 남들보다 빠르게 푸는 것.
- 전문성: 복잡한 문제, 어려운 문제를 풀수 있는 것. 차별화된 방식으로 문제를 푸는것. 돌발적이거나 새로운 상황에서도 방법을 찾아내는 것.
전문성을 기른 사람을 우리는 프로라고 한다. 프로는 어려운 상황일수록 빛을 발한다.
6. 그러면 전문성을 기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난이도가 있는 프로젝트, 최신기술을 필요로 하는 과제, 새로운 방식의 접근, 남들이 해보지 않은 신규 과제 등을 하는 것이다. 여기에 피드백을 줄수있는 고수가 같이 있다면 최상이다. 이상적인 프로젝트는 최선을 다하면 달성할수 있을 정도의 난이도를 가지면서 배울수 있는 고수가 함께하는 프로젝트이다.
LinkedIn Soojung Shin (신수정) 페이지: #커넥팅 #커리어 #커넥팅 #일잘하는법 #성장 #신수정 #어려운일
어려운 일을 해야 경쟁력이 생긴다-- 1. 얼마전, 마케팅 분야 인플루언서이자 전문가 한분을 만났다. 이 분이 이런 말을 한다. "요즘 기업에서 제일 원하는 사람들은 어려운 일을 해본 사람이예요
kr.linkedin.com
100% 정답이라고 믿고 싶게 하는 말들이 있다.
세상에 모든 것들이 한 면만 가질 리 없고, 그러니 완벽한 정답은 아니겠지만 아무튼 나는 프로가 되고 싶고 그 단어가 되게 눈에 띄기는 한다. 프로, 직업인, 뭐 기타 등등.
'업무 스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문이 실력이다 / 네이버 블로그 EK의 커리어 노트 (0) | 2025.03.20 |
---|---|
상사 유형별 대처법 / 잡플래닛 (0) | 2025.03.20 |
[스터디 노트] 화학 결합과 분석 시험 / LC, GC 관리 (0) | 2024.09.24 |
[스터디 노트] 의무감에 대하여 (0) | 2024.09.12 |
[스터디 노트] 훌륭한 일을 하는 방법 (1) | 2024.09.09 |
[스터디 노트] 부주의의 심리학 (휴먼 에러의 배후 요인) (5) | 2024.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