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약 및 의료기기, GMP

공기조화시스템의 PQ에 in operation/operational 상태를 적용해야 하는 이유

by read_with_me 2021. 9. 6.
728x90
728x90

오늘은 업무하면서 질문이 던져진 공기조화시스템의 PQ를 '왜' in operation / operational / 공정중 상태에서 실시해야 하는가에 대한 근거 조항 및 관련내용을 찾아보고자 합니다.

 

저는 이게 왜 질문거리인가? 했는데 생각보다 공조를 많이 접할일이 없기에 헷갈려하시는 것 같습니다.

(다른 분들도 안부글이나 댓글 등으로 질문이나 의견 남겨주시면 글 작성에 참고하겠습니다.)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처
[별표1] 무균의약품 제조
EU GMP Volume 4
Annex 1. Manufacture of Sterile Medicinal Products (2008 rev.)

 

미생물(부유균, 낙하균, 표면균)의 경우 가이드라인의 기준은 공정중(in operation)에 대한 기준만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at rest 기준이 없기 때문에, at rest에서 저 기준으로 미생물을 평가했다면 애초에 전제조건이 맞지 않습니다.

 

EU Annex 1 = PIC/S 가이드라인

국내 KGMP는 PIC/S 가이드라인을 따라가기 때문에 동일한 내용을 적용합니다. 측정은 in operation에서 실시하는 결과만이 적합합니다.

 

FDA Guideline cGMP
Sterile Drug Products Produced by Aseptic Processing — 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2004)

 cGMP에서는 under dynamic conditions에서의 평가 기준만 나와있습니다.

 dynamic condition 상태에 대해서는 with personnel present, equipment in plae, on operations ongoing이라고 설명하니다. 작업자가 있고, 장비가 있으며, 공정이 가동중인 상태로 'in operation/operationa;'상태와 동일합니다.

 

 cGMP에서는 dynamic conditions(in-operations)와 static conditions(as-built)상태만 있고, at-rest 상태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따라서 EU GMP와 마찬가지로 at-rest 상태에서의 기준이 없기 때문에, 미생물에 대한 at-rest 상태에서의 평가는 무의미합니다.

 

 

 

 

자, 미생물과 부유입자가 그렇다면 공기조화시스템의 다른 PQ항목은 어떨까요?

이제 ISO 14644 내용을 보겠습니다.

 

 

ISO 14644-2:2000

현재 ISO 14644-2의 최신버전은 2015년도 버전으로, 위 캡쳐본은 이전버전입니다.

신규 버전에는 해당 내용이 삭제되었음을 전달드립니다. 하지만 차압과 풍량, 풍속은 operational(in operation)이나 at-rest 상태에서든 상관 없이 실시할 수 있다고 작성되어 있습니다.

 

 

ISO 14644-3:2019
 


ISO 14644-3:2019에서도 성능평가는 as-built, at-rest, operational(in operation) 상태에서 가능하다고 합니다.

즉, ISO 14644-3에서 진행하는 대부분의 시험항목에 대해서는 3가지 occupancy state(operational, at-rest, as-built) 상태 모두에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예외로 particle deposition test는 operational/in operation 상태에서 실시하라고 되어있습니다.)

 

단 이경우에도, 청정실에 위치한 장비가 시험항목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경우 장비가 가동중인 상태(최소한 at-rest)에서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제조지원설비 등 밸리데이션 프로토콜, 식품의약품안전처(2009)

 

이 프로토콜은 의약품(케미컬)에서는 10년도 더 되었으나 여전히 유효합니다.

이 문서가 나왔던 2009년이랑 현재 KFDA의 청정도 관리기준에 대한 분류가 변경되었으며(당시 1A, 1B 급지 등으로 분류), 현재의 청정도에 적용한다면 1.1은 Unidirectional , Grade A~C / 1.2는 Non unidirectional Grade D 이하에 해당합니다.

 

 


즉 결론은, 의약품 제조소의 청정실의 성능적격성평가(부유입자, 부유균, 낙하균, 표면균)는 생산중인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최소한 시뮬레이션 상태에서 실시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